
포항
신인 랩퍼 '오베르(Auvers)'의 데뷔를 알리는 첫 번째 정규 앨범
1번 트랙의 제목 'Auvers Sur Oise'은 고흐가 자살한 곳이며, 앨범의 모든 트랙 역시 그의 빠르고 투박한 붓 놀림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한다. 연대기에 따라 바뀐 수많은 그의 자화상들의 느낌과 고흐가 그림으로 묘사한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어둡고도 다채로운 풍경을 담아보려 노력하였고, 지루함 속에 사느니 열정 속에 죽겠다는 그의 강렬하면서 타는듯한 색채와 정서적인 감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을 앨범 속에 담아두었다.
데뷔작으로 싱글, EP 앨범이 아닌 정규 앨범을 겁 없이 꺼내든 '오베르(Auvers)'는 20대 초중반의 갈림길에 선 청춘들의 입장에서 컨셔스 힙합을 표방하였다.
'오베르(Auvers)'는 대중들에게 자극적으로 비춰지고 있는 힙합이라는 장르 음악 속에서 자신을 뚜렷하게 투영하는 시도와 감정을 내비치는 작업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동시에 래퍼와 MC와 아티스트는 분명하게 구분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굳건히 손을 치켜든다.
모든 트랙은 '스트롱베리(Strongberry)' 크루의 비트메이커인 '루비즈(Lubiz)'가 프로듀...
1번 트랙의 제목 'Auvers Sur Oise'은 고흐가 자살한 곳이며, 앨범의 모든 트랙 역시 그의 빠르고 투박한 붓 놀림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한다. 연대기에 따라 바뀐 수많은 그의 자화상들의 느낌과 고흐가 그림으로 묘사한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어둡고도 다채로운 풍경을 담아보려 노력하였고, 지루함 속에 사느니 열정 속에 죽겠다는 그의 강렬하면서 타는듯한 색채와 정서적인 감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을 앨범 속에 담아두었다.
데뷔작으로 싱글, EP 앨범이 아닌 정규 앨범을 겁 없이 꺼내든 '오베르(Auvers)'는 20대 초중반의 갈림길에 선 청춘들의 입장에서 컨셔스 힙합을 표방하였다.
'오베르(Auvers)'는 대중들에게 자극적으로 비춰지고 있는 힙합이라는 장르 음악 속에서 자신을 뚜렷하게 투영하는 시도와 감정을 내비치는 작업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동시에 래퍼와 MC와 아티스트는 분명하게 구분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굳건히 손을 치켜든다.
모든 트랙은 '스트롱베리(Strongberry)' 크루의 비트메이커인 '루비즈(Lubiz)'가 프로듀...